수상한 프로그래머
-
시스템/프로세스 관련 명령어수상한 프로그래머/리눅스(Linux) 2019. 4. 4. 12:32
리눅스 관리자라면 아래 명령어를 자주 실행할 것 같다. 윈도우의 작업관리자 같은 기능의 명령어 이다. top : 시스템 프로세스 및 메모리 및 CPU 사용량 uname -a : 운영체제,호스트명,커널버전,시스템부팅시간,아키텍쳐 보여줌 uname -m : cpu 보여줌 free -m : 메모리 보여줌(-m 메가단위, -k kb단위) df -h : 마운트되어있는 디스크 사용량 du --max-depth=1 -h /home : 각 계정별로 이용량 확인 lsdev : 현재 사용중인 장치정보 w :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 last : 최근 이용한 접속자 date : 현재 설정된 시간 clock : Cmos에 설정된 시간 rdate -s soback.kornet.nm.kr : soback.kornet.nm.kr에서 ..
-
파일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수상한 프로그래머/리눅스(Linux) 2019. 4. 4. 12:29
리눅스를 사용하면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명령어이다. 잘 읽어보고 자주 사용해보도록 하자 ㅎㅎㅎ ll : 전체폴더구조 보기 ls : 폴더구조 간단히 보기 ls -al : 숨긴파일 까지 다 보기 ls [디렉토리명] : 해당 디렉토리보기 ls [파일명 또는 일부] : 해당되는 파일만 보여주기 cd : 디렉토리 이동 chmod 755 [디렉토리] : 파일권한변경 (내꺼, 같은그룹, 전체) mkdir [디렉토리] : 디렉토리생성 mkdir -p a/b : a디렉토리 생성후 하위에 b디렉토리 생성 rm [파일명] : 파일삭제 rmdir [디렉토리명] : 디렉토리삭제 (파일존재시 삭제 불가) rm -rf [디렉토리명] :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 까지 모두 삭제 touch [파일명] : 해당파일의 수정일을 현재시각..
-
cron 관련 명령어수상한 프로그래머/리눅스(Linux) 2019. 4. 4. 12:25
앞어 얘기한 바와 같이 로그삭제나 백업명령 실행 같은 스케쥴링이 필요할때 리눅스에서는 cron을 쓰게된다. Cron이란?? 정해진 시간마다 수행해야할 프로세스가 있을 때 crontab을 설정한다. (매일 고객사 테이블을 동기화 시킨다거나 할 때...) - crontab 내용 보기 #crontab -l - crontab 지우기 #crontab -r - crontab 파일위치 /var/spool/cron/유저명 -crontab 내용 편집하기 #crontab -e - 편집 화면에서 작성 예 30 12 * * */usr/local/backup.sh -> 매일 12시 30분마다 backup.sh 스립트를 수행하라는 의미 -> 분 시 일 월 요일 순서로 작성, * 는 모든을 의미 -> 요일은 0~6 , 일~토 1...